말씀을 듣는 네 가지 마음밭
마태복음 13:3–9 | 개역개정
본문 — 마태복음 13:3–93 예수께서 비유로 여러 가지를 그들에게 말씀하여 이르시되 씨를 뿌리는 자가 뿌리러 나가서
4 뿌릴새 더러는 길 가에 떨어지매 새들이 와서 먹어 버렸고
5 더러는 흙이 얕은 돌밭에 떨어지매 흙이 깊지 아니하므로 곧 싹이 나오나
6 해가 돋은 후에 타서 뿌리가 없으므로 말랐고
7 더러는 가시떨기 위에 떨어지매 가시가 자라서 기운을 막았고
8 더러는 좋은 땅에 떨어지매 어떤 것은 백 배, 어떤 것은 육십 배, 어떤 것은 삼십 배의 결실을 하였느니라
9 귀 있는 자는 들으라 하시니라
🔎 본문 해석 및 적용
예수님은 말씀을 듣는 태도를 네 가지 마음밭으로 설명하십니다. 씨와 농부는 동일하지만 결실은 마음의 상태에 달려 있습니다. 신앙은 무엇을 들었는가보다 어떻게 들었는가에 의해 견고해집니다. 오늘 말씀 앞에서 내 마음이 어떤 밭인지 정직하게 점검해 봅니다.
길가는 단단하여 씨가 스며들지 못하고, 돌밭은 뿌리가 얕아 시련의 해가 뜨면 말라버립니다. 가시떨기는 염려와 재물의 유혹이 기운을 막아 열매를 가로막습니다. 우리도 분주함과 걱정, 즉각적 만족에 끌릴 때 말씀이 자랄 공간이 사라지곤 합니다. 말씀의 능력을 의심하기 전에 마음의 토양을 먼저 돌아보아야 합니다.
좋은 땅은 우연히 생기지 않습니다. 묵은 땅을 갈아엎고, 돌을 골라내고, 가시를 뽑아내는 꾸준한 영적 경작이 필요합니다. 말씀을 이해하려는 집중, 삶에 적용하려는 결단, 시련 속에서도 붙드는 인내가 곧 좋은 땅을 만듭니다. 그때 말씀은 삼십 배, 육십 배, 백 배의 열매로 응답합니다.
“하나님의 말씀은 능력이 있다. 그러나 그 능력은 열려 있는 마음밭에서만 열매를 맺는다.”
— 오스왈드 챔버스
오늘 주님 앞에 마음을 낮추어 다시 갈아엎읍시다. 비교와 염려, 탐심의 가시를 뽑아내고, 말씀을 품어 순종으로 물 주며 기다립시다. 성령께서 우리가 준비한 마음밭에 생명의 결실을 풍성히 이루실 것입니다. 귀 있는 자는 듣고, 들은 대로 살아가며 열매 맺읍시다.
❔ 묵상을 위한 질문
- 요즘 내 마음은 길가·돌밭·가시떨기·좋은 땅 중 어디에 가장 가까웠나요?
- 말씀이 뿌리내리는 것을 막는 ‘가시’(염려·유혹·분주함)는 무엇이며, 오늘 어떻게 뽑아낼 수 있을까요?
- 좋은 땅이 되기 위해 이번 주에 실천할 한 가지 ‘경작’(기도, 기록, 적용)은 무엇인가요?
🙏 오늘의 기도
말씀의 씨를 뿌리시는 주님, 제 마음밭을 새롭게 갈아엎어 주옵소서. 돌을 제거하고 가시를 뽑아내어, 말씀이 깊이 뿌리내리게 하소서. 듣고 끝나지 않고, 이해하고 믿으며 순종으로 걸어가게 하옵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아멘.